본문 바로가기

영국2

18세기 역사 중세의 기독교적 이념은 합리주의와 17세기 고전정신의 조화 앞에서 물러갔고 이 이념은 계몽주의 사상이라는 18세기의 지적 운동의 충격을 받고 더욱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계몽주의 사상은 인간이 노력하면 이상적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는 확신을 토대로 하며 서양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현상이 되어 인간생활의 세소고하는 이제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게 됩니다. 기성종교 특히 기독교는 이성의 시대의 일관한 도전에 직면하여 수세에 몰리게 되었던 것이며 계몽주의의 씨앗은 영국에서 뿌려져 거기서 싹이 돋아났으나 꽃이 핀 것은 프랑스에서 입니다. 미국의 독립혁명이나 프랑스 대혁명은 계몽주의의 소산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계몽주의 운동의 약점을 드러낸 점 또한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입니다. 1776년 미국은 민주주의의 대원칙.. 2020. 4. 3.
명예혁명 제임스 2세가 3년의 재위 기간 동안 두가지 큰 문제에 봉착했는데 하나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의 갈등이었고 다른 하나는 왕권신수설에 대항하는 의회와의 갈등이었습니다. 제임스 2세는 로마 가콜릭을 신봉하였고 의회와 갈등하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1679년과 1681년에 신학적으로 저교회파 성공회 신자들의 정당인 휘그당은 추방 결의를 통해 제임스 2세의 폐위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신학적으로 교회전통을 강조하는 고교회파노선 성공회신자들의 정당인토리당을 지원하였고 1685년 즉위하여 왕정의회를 다수 토리당원으로 채웠습니다. 제임스 2세는 토리당의 견해를 무시하고 종교적 관용을 내세워 로마 가톨릭 신자들을 관리로 채용하였으며 심사율을 유명무실하게 하는 이러한 정책은 토리당에게 잉글랜드 교회의 붕괴로 .. 2020.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