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역사3

명예혁명 제임스 2세가 3년의 재위 기간 동안 두가지 큰 문제에 봉착했는데 하나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의 갈등이었고 다른 하나는 왕권신수설에 대항하는 의회와의 갈등이었습니다. 제임스 2세는 로마 가콜릭을 신봉하였고 의회와 갈등하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1679년과 1681년에 신학적으로 저교회파 성공회 신자들의 정당인 휘그당은 추방 결의를 통해 제임스 2세의 폐위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신학적으로 교회전통을 강조하는 고교회파노선 성공회신자들의 정당인토리당을 지원하였고 1685년 즉위하여 왕정의회를 다수 토리당원으로 채웠습니다. 제임스 2세는 토리당의 견해를 무시하고 종교적 관용을 내세워 로마 가톨릭 신자들을 관리로 채용하였으며 심사율을 유명무실하게 하는 이러한 정책은 토리당에게 잉글랜드 교회의 붕괴로 .. 2020. 4. 3.
영국의 시민 혁명 1625년에 즉위한 찰스 1세는 왕위를 계승한 이래 프랑스, 에스파냐와의 잦은 전쟁으로 그 비용을 강제 기부나 상납금 등에 의존하였으며 이러한 약정으로 국내의 불만이 고조되어 하원의원 에드워드 코크 등이 중심이 되어 국왕에게 청원이라는 형식으로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권리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특별세 승인을 필요로 한 찰스 1세는 마지못해 재가했으나 1629년에 의회를 해산시키고 11년간 의회를 소집하지 않고 전제정치를 단행하여 청교도 혁명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청교도 혁명에서 크롬웰은 대간의서를 제출하고 국민에 대하여 의회의 정당성을 호소하려 했으며 찰스 1세는 의회를 탄압할 것을 결의하고 핌, 함프덴 등 5인의 의회 지도자를 반역죄로 고발하고 그들을 체포하기 위하여 군대를 이끌고 의회.. 2020. 4. 3.
17세기 유럽 역사 절대주의 시대에서는 봉건적 대토지 소유자인 영주의 세력이 점차로 쇠퇴해 가고 있어 농업이나 공업에서 소부르주아적 생산자가 대두하고 있으며 국왕은 봉건 영주의 약체화에 대응하여 그들이 소유하고 있던 농민 수탈의 여러 권리를 자기 수중에 집중화시키고 중앙집권적 체제를 구축하면서 국민적 통일국가의 실현을 꾀하고 있으며 국왕은 자기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팽대한 관료 기구와 국왕 직속의 상비군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 비용은 왕의 광대한 영토로부터의 수입, 중왕 집권화된 지대로서의 ㅣ지조 그리고 그 위에 신흥 신민계급인 상인과 공업인에 부과한 세수입에 의하여 잘 처리되었습니다. 이처럼 절대주의의 재산적 기초는 여전히 봉건적 토지 소유 위에 한쪽 발판을 두면서 동시에 신흥 시민계급의 경제적 부에도 크.. 2020.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