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3 중국 혁명의 주요 사건 혁명 봉기가 실패를 거듭하자 입헌파의 기관지 신민총보와 동맹회의 기관지 민보까지도 혁명파의 수령들은 편안히 앉아 있기만 하고 애매한 대중만 죽음에 몰아넣었다고 비난을 퍼부었으며 동맹회 기관지 민보의 격렬한 비난에 분통을 터뜨린 왕조명은 민보의 보도가 잘못이라는 실증을 보여주기 위하여 베이징으로 달려갔으며 혁명 투사들뿐 아니라 자신도 혁명을 위하여는 목숨을 바치겠다는 결의를 보이기 위해서였습니다. 베이징에 올라온 왕조명은 웅성기가 하얼빈에 암살하려다 실패한 바 있는 두 황족을 베이징 도착 때 폭살할 계획을 세웠으나 두 황족이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는 많은 출영 인파로 그들을 분별할 길이 없어 예정을 변경하였습니다. 왕조명은 섭정왕인 순친왕을 폭살할 계획으로 순친왕이 자주 통과하는 다리 밑에 폭탄을 장치하였으.. 2020. 4. 6. 중국동맹회 결성 및 혁명 참가자의 구성원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자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하여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운동을 더욱 강화하자는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1907년 7월 혁명의 선구자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에 들렀을 때 이 움직임은 결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쑨원은 혁명의 동지 황싱과 혁명 제단체의 연합을 제창한 끝에 호응을 얻었으며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할 것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은 중국동맹회로 할 것 쑨원이 제창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혁명파의 지도적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으며 그들은 1906년 공동으로 전략을 세워 혁명 봉기후의 정권 수립에 대비한다는 데 합의하였습니다. 중국동맹회는.. 2020. 4. 6. 청조의 개혁 및 군사제도의 개혁 변법자강운동은 서태후와 수구파 탓에 실패하였으나 의호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로 국내상으로는 막대한 세금 징수로 민심의 동요와 불만 그리고 국외상으로는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가 증폭하여 청 조정은 내정과 외교 총체가 위기에 처하였습니다. 특히 상층도 청조에 불만이어서 더는 방치할 수 없는 위기였으며 1901년 1월 청의 실권자 서태후는 외국의 장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버려 부강을 꾀한다는 방침하에 고위 관료들에게 국정에 관한 의견을 상신하라고 명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하여 청 정부는 생존하려는 신정을 개시했는데 이를 서태후의 존호인 자희를 따 자희신정이라고 하였습니다. 정부 주도하에 이뤄진 개혁 중 최요하고 시급한 개혁이 교육이었으며 청조는 국외 유학을 장려하고 전국의 학당을 신식 학교로 바꾸도록 하여 점.. 2020. 4.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