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혁명4 청조의 대응과 위안스카이의 등장 우창 봉기에 이어 호남, 섬서, 강서, 산서, 상하이, 절강, 광둥 등 여러 지역에서 동맹회 회원들이 우창 봉기에 자극받아 일제히 봉기하여 11월 하순에는 24성 가운데 14성이 청조의 지배로부터 이탈, 독립하게 됩니다.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각 성은 통일 혁명중앙정부의 수립을 위해 각성도독부대표연합회 각성대표회의 등을 만들었으나 이들의 혁명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동맹회 등 통일된 혁명세력이 각 서의 무장봉기에 가담하여 봉기를 일으킨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체적이고 일률적인 규율이나 지도체제가 없었습니다. 일단 청조와 구체제에 반대하기만 하면 입헌파든 공화파든 가리지 않고 무장봉기에 나섰기 때문에 봉기가 성공하여도 실제 지배권은 입헌파등 반동세력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한편 베이징의 .. 2020. 4. 28. 보로운동의 확산과 쓰촨 폭동 청조는 1898년 이래 철도부설권과 광산채굴권 등 막대한 이권을 외국인의 손에 넘겨주어 이 시기 철도 부설 운동이 크게 일어났으나 민간에서 이권 회수 운동이 일어나 철도도 스스로 자금을 마련해서 부설하자는 운동이 일어났으며 특히나 호남, 호북, 쓰촨, 광둥에서 적극적으로 이 운동이 일어나 주식을 판매하여 자금을 모아 건설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모은 자금에는 한계가 잇었기 때문에 철도 부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1911년 5월에 청 조정은 신정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고 13명의 각료를 임명했으나 문제는 이 13명의 각료 중 한족 출신은4명뿐이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 9명 중 6명은 황족이었기 때문에 개혁의 기대를 완전히 저버린 내각인사였으며 더 커다란 문제는 이 내각에서 우.. 2020. 4. 28. 중국동맹회 결성 및 혁명 참가자의 구성원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자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하여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운동을 더욱 강화하자는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1907년 7월 혁명의 선구자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에 들렀을 때 이 움직임은 결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쑨원은 혁명의 동지 황싱과 혁명 제단체의 연합을 제창한 끝에 호응을 얻었으며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할 것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은 중국동맹회로 할 것 쑨원이 제창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혁명파의 지도적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으며 그들은 1906년 공동으로 전략을 세워 혁명 봉기후의 정권 수립에 대비한다는 데 합의하였습니다. 중국동맹회는.. 2020. 4. 6. 입헌군주제 실시 및 쑨원의 혁명 운동 신정이 실시되는 가운데 청조를 유지하면서 입헌군주제로 국가 부흥을 꾀하자는 입헌 운동도 전개되었습니다. 특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사태를 계기로 아시아인도 입헌하면 유럽을 이길 수 있다는 양계초의 주장이 널리 호응을 얻었으며 실업 진흥 기치하에 민족자본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둬 발전하기는 했으나 외국 자본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해서 신흥 자본가 계층은 입헌 개혁을 지지했습니다. 입헌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퍼져가는 가운데 대세를 관망하던 위안스카이는 1905년에 황족과 귀족을 국외에 파견해 정치를 시찰시키면서 입헌하려는 준비해야 한다는 황실에 상주했으며 서태후의 측근 대신들도 입헌해야 군권이 영구히 굳건해진다고 서태후를 설득했습니다. 청 조정은 1905년 7월 헌정시찰단을 유럽, 미국, 일본에 파견했고.. 2020. 4.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