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9 로마 가톨릭교회에 관하여 가톨릭교회는 교황이 완벽하지 않은 인ㄴ으로 태어났지만 신앙과 도덕에 관한 교리를 확정하는데 있어 결코 오류를 범할 수 없다는 무류성의 특권을 누린다고 가르칩니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4대 교리는 천주존재, 삼위일체, 상선벌악, 강생구속이며 천주존재는 우주를 창조하고 다스리는 창조주이자 즉 하느님이 존재함을 밎는 것이며 삼위일체는 성부와 성자 그리고 성령의 삼위가 한 나하느님이라는 듯이빈다. 성선벌악은 하느님은 선한 사람에게는 상을 주지만 악한 사람에게는 벌을 내린다고 믿으며 강생구속은 인간이 죄를 지어 하느님의 영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으나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사람이 됨으로써 인간의 죄를 대신 보속했으므로 누구든지 그리스도를 믿고 세례를 받으면 구원을 얻는다는 교리입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예.. 2020. 8. 18. 18세기 역사 중세의 기독교적 이념은 합리주의와 17세기 고전정신의 조화 앞에서 물러갔고 이 이념은 계몽주의 사상이라는 18세기의 지적 운동의 충격을 받고 더욱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계몽주의 사상은 인간이 노력하면 이상적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는 확신을 토대로 하며 서양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현상이 되어 인간생활의 세소고하는 이제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게 됩니다. 기성종교 특히 기독교는 이성의 시대의 일관한 도전에 직면하여 수세에 몰리게 되었던 것이며 계몽주의의 씨앗은 영국에서 뿌려져 거기서 싹이 돋아났으나 꽃이 핀 것은 프랑스에서 입니다. 미국의 독립혁명이나 프랑스 대혁명은 계몽주의의 소산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계몽주의 운동의 약점을 드러낸 점 또한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입니다. 1776년 미국은 민주주의의 대원칙.. 2020. 4. 3. 명예혁명 제임스 2세가 3년의 재위 기간 동안 두가지 큰 문제에 봉착했는데 하나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의 갈등이었고 다른 하나는 왕권신수설에 대항하는 의회와의 갈등이었습니다. 제임스 2세는 로마 가콜릭을 신봉하였고 의회와 갈등하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1679년과 1681년에 신학적으로 저교회파 성공회 신자들의 정당인 휘그당은 추방 결의를 통해 제임스 2세의 폐위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신학적으로 교회전통을 강조하는 고교회파노선 성공회신자들의 정당인토리당을 지원하였고 1685년 즉위하여 왕정의회를 다수 토리당원으로 채웠습니다. 제임스 2세는 토리당의 견해를 무시하고 종교적 관용을 내세워 로마 가톨릭 신자들을 관리로 채용하였으며 심사율을 유명무실하게 하는 이러한 정책은 토리당에게 잉글랜드 교회의 붕괴로 .. 2020. 4. 3. 17세기 유럽 역사 절대주의 시대에서는 봉건적 대토지 소유자인 영주의 세력이 점차로 쇠퇴해 가고 있어 농업이나 공업에서 소부르주아적 생산자가 대두하고 있으며 국왕은 봉건 영주의 약체화에 대응하여 그들이 소유하고 있던 농민 수탈의 여러 권리를 자기 수중에 집중화시키고 중앙집권적 체제를 구축하면서 국민적 통일국가의 실현을 꾀하고 있으며 국왕은 자기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팽대한 관료 기구와 국왕 직속의 상비군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 비용은 왕의 광대한 영토로부터의 수입, 중왕 집권화된 지대로서의 ㅣ지조 그리고 그 위에 신흥 신민계급인 상인과 공업인에 부과한 세수입에 의하여 잘 처리되었습니다. 이처럼 절대주의의 재산적 기초는 여전히 봉건적 토지 소유 위에 한쪽 발판을 두면서 동시에 신흥 시민계급의 경제적 부에도 크.. 2020. 4.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