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혁명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며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으로도 불립니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 무장투쟁을 전개했습니다. 1911년 청나라가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으며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성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습니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습니다.
1911년이 신해년이라서 신해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습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습니다. 1915년 일본의 21개조 요구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햇느데 이를 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습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주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하며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됩니다.
청일전쟁을 계기로 양무운동의 파탄이 드러나자 그동안 서구의 정치제도 도입 즉 제도상 개혁을 주장해 온 변법론이 힘을 얻었으며 변법을 주장하는 하급관리 캉유웨이의 개혁 주중이 광서제에게 알려지면서 광서제가 주도하여 1989년 4월 하순에 약 100일에 거쳐 소위 무술변법 개혁을 시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캉유웨이는 본래 부강하려면 서구식 입헌군주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이었으나 우선 개혁을 추진할 새로운 기구 마련에 착수하고자 했으나 새로운 기구 마련과 개혁을 지향하는 하급관리 임용, 상공업 진흥과 신식학교 개설 등 개혁 구상조차 옛 제도나 관습을 그대로 지키고 따르려는 관리들과 서태후에게는 기득권을 위협하는 행위로 보였습니다.
'중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조의 개혁 및 군사제도의 개혁 (0) | 2020.04.06 |
---|---|
쓰러져 가는 청나라 (0) | 2020.04.06 |
중국의 중세사와 근대사 (0) | 2020.04.06 |
중국 신화와 문명 및 고대 (0) | 2020.04.06 |
중국 역사 (0) | 2020.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