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프리카역사

아프리카 정치 및 언어

by 청락더락 2020. 8. 4.

아프리카의 현대 정치는 유럽 열강 주도의 16세기 노예 무역과 19세기 제국주의적 식민 통치 그리고 1960년대 대거 독립 이후 경제 및 정치 그리고 문화상의 신식민주의적 형태와 밀접히 연계되어 있습니다. 식민주의는 많은 수의 민족 그룹을 불안정하게 했으며 여전히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하며 유럽이 아프리카에 영향을 미치기 전 국가 경계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었고 아프리카인들은 아라비아 등의 타 지역의 관례를 따라 그룹의 영토를 그 그룹의 군사적 또는 상업적 영향력권으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유럽 열강들은 1884년 이른바 베를린 회의에서 서유럽 식민국가들 간의 정치 흥정에 의해 명확한 경계선을 지어서 타 유럽 국가의 식민지와 구별하고자 했는데 이는 원래 이어져 있던 정치적 세력들을 나눠 버리거나 전통적 적들을 같이 몰아넣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얘를 들어 콩고 강은 자연스러운 지리적 변경선 같아 보이지만 강의 양쪽에는 같은 언어와 문화 그리고 다른 여러 부분을 공유하는 무리들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벨기에와 프랑스가 강을 사이에 두고 영토를 분리하게 되자 이들 무리는 서로 갈라지게 되었습니다. 

아프리카 연합은 서사하라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국가로 구성된 국가 연합체이며 2001년 6월 26일 아디스 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창설되었습니다. 2004년 7월에 아프리카 연합의 범아프리카 의회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미드란드로 옮겼으나 아프리카 인권 및 민권 이사회는 아디스 아바바에 남아있습니다. 아프리카 연합은 연합법에 따라 창설되어 장차 연방체인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로 변화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대표 회의를 두는 일개 국가로 발전하고자 하며 아프리카 연합은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를 갖춘 의회제 정부로 국가 수반이자 범아프리카 의회 의장인 아프리카 연합의 대통령이 이끕니다. 

아프리카의 기관과 국가 사이에 네트워크가 증대되고 있는 조짐이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빈곤하고 비아프리카 국가가 개입했던 콩고 민주 공화국 내전에서 인접 아프리카 국가들이 개입하였습니다. 1998년에 전쟁이 시작하여 사망자수가 5백만에 이르고 있으며 아프리카 연합과 같은 정치 연대 덕분에 아프리카 여러 나라들의 협력과 평화가 증대될 희망이 생겼습니다.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인권 침해가 자행되고 있으며 어떤 경우 국가가 감독하는 가운데서 이런 일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런 폭력은 내전의 부작용 등 대부분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일어나며 최근에 인권 침해가 일어나는 나라로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시에라리온 그리고 라이베리아, 수단, 짐바브웨, 코트 디부아르 등입니다. 

아프리카에는 3천개가 넘는 언어가 존재하며 아프리카에서 파생된 언어들은 네 가지 어족으로 나뉘게 됩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는 240개의 언어가 속해있고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사헬과 동남아이사에서 2억 8500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며 나일사하라어족에는 100개 이상의 언어가 속해있고 주로 차드, 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와 탄자니아 북부에서 3000만명이 사용합니다. 코이산어족에는 50개 이상의 언어가 속하며 남부 아프리카에서 1200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며 이들 언어 중에는 사멸할 위기에 처해있는 것들이 많으며 코이족과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첫 정착자로 여겨집니다. 니제르콩고어족은 주로 사하라 남부에서 사용되며 그 언어의 다양함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짐작되며 그중 많은 수는 반투어군에 속하며 중부 및 남부 아프리카에서 사용됩니다. 

'아프리카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의 경제 및 문화  (0) 2020.08.03
아프리카 9세기 이후 역사  (0) 2020.08.02
아프리카 고역사  (0) 2020.07.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