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39

혁명 봉기의 계속과 실패 중국동맹회는 같은 처지로 일본에 망명하고 있던 세력인 캉유웨이의 입헌파와 사상적인 논쟁을 전개하나 동맹회의 활동은 입헌파에 비해 훨씬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왜냐하면 혁명 활동이란 비밀활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중국 국내에는 동맹회 세력의 본부를 설치할 곳이 없었습니다. 동맹회의 혁명이란 무력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므로 무력 또한 물질적인 자금이 필요하였으나 이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혁명당은 각지의 회당과 군대에게 연락하여 이들과 함께 혁명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쑨원의 전략은 해외에서 혁명 이론으로 무장한 혁명 세력을 본토에 침투시켜 전국 규모의 봉기를 유도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삼민주의를 내세워 군법, 약법, 헌법의 순서로 혁명을 전개하는 3단계 혁명방안을 구상했습니다. 쑨원의 동맹회는 선전활동 외.. 2020. 4. 6.
중국동맹회 결성 및 혁명 참가자의 구성원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자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하여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운동을 더욱 강화하자는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1907년 7월 혁명의 선구자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에 들렀을 때 이 움직임은 결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쑨원은 혁명의 동지 황싱과 혁명 제단체의 연합을 제창한 끝에 호응을 얻었으며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할 것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은 중국동맹회로 할 것 쑨원이 제창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혁명파의 지도적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으며 그들은 1906년 공동으로 전략을 세워 혁명 봉기후의 정권 수립에 대비한다는 데 합의하였습니다. 중국동맹회는.. 2020. 4. 6.
입헌군주제 실시 및 쑨원의 혁명 운동 신정이 실시되는 가운데 청조를 유지하면서 입헌군주제로 국가 부흥을 꾀하자는 입헌 운동도 전개되었습니다. 특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사태를 계기로 아시아인도 입헌하면 유럽을 이길 수 있다는 양계초의 주장이 널리 호응을 얻었으며 실업 진흥 기치하에 민족자본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둬 발전하기는 했으나 외국 자본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해서 신흥 자본가 계층은 입헌 개혁을 지지했습니다. 입헌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퍼져가는 가운데 대세를 관망하던 위안스카이는 1905년에 황족과 귀족을 국외에 파견해 정치를 시찰시키면서 입헌하려는 준비해야 한다는 황실에 상주했으며 서태후의 측근 대신들도 입헌해야 군권이 영구히 굳건해진다고 서태후를 설득했습니다. 청 조정은 1905년 7월 헌정시찰단을 유럽, 미국, 일본에 파견했고.. 2020. 4. 6.
청조의 개혁 및 군사제도의 개혁 변법자강운동은 서태후와 수구파 탓에 실패하였으나 의호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로 국내상으로는 막대한 세금 징수로 민심의 동요와 불만 그리고 국외상으로는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가 증폭하여 청 조정은 내정과 외교 총체가 위기에 처하였습니다. 특히 상층도 청조에 불만이어서 더는 방치할 수 없는 위기였으며 1901년 1월 청의 실권자 서태후는 외국의 장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버려 부강을 꾀한다는 방침하에 고위 관료들에게 국정에 관한 의견을 상신하라고 명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하여 청 정부는 생존하려는 신정을 개시했는데 이를 서태후의 존호인 자희를 따 자희신정이라고 하였습니다. 정부 주도하에 이뤄진 개혁 중 최요하고 시급한 개혁이 교육이었으며 청조는 국외 유학을 장려하고 전국의 학당을 신식 학교로 바꾸도록 하여 점.. 2020.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