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 시대는 문자 기록이 있기 전 인류의 역사이며 문자 기록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당시 사용하였던 도구를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선사 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 그리고 신석기 시대 같은 석기 시대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던 지역의 청동기 시대 및 초기 철기 시대를 포함합니다. 신석기 시대에 들어 농업이 시작되면서 정착생활이 시작되었으며 결과 움집과 같은 거주지가 생기고 이들이 모인 촌락이 형성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 들어 인류는 금속을 사용하게 되었고 강력한 권력을 갖춘 지배 집단이 형성되었습니다. 인류 최초의 도시와 국가, 문자, 도서관, 상업, 종교, 신화, 철학과 같은 지금까지도 인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분야들이 생겨났습니다.
구석기 시대의 주요 도구는 뗀석기와 같은 석기였으며 뗀석기는 먼저 원석을 일차적으로 다듬어 거북등 모양의 석핵을 만든 뒤 석핵의 모퉁이를 가격하여 석편을 떼어내 사용하는 방식으로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며 구석기 유물은 프랑스의 르발루아 근교에서 처음 발견되어 흔히 르발루아 방식의 석기로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약 70만 년 전부터 1만년전까지의 구석기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구석기의 유골로는 평양에서 발견된 역포인과 1983년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발견된 흥수 아이 등이 있습니다. 구석기 시대 이후 신석기 사용이 있기 전까지의 석기 시대를 중석기 시대라고 하며 부싯돌과 같은 돌을 사용하여 구석기 시대에 비해 단단한 도구를 제작하였습니다. 유럽에서는 대략 소빙하기가 끝난 후 신석기가 시작되는 기원전 5000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중석기 시대에 인류는 개와 같은 가축을 기르기 시작하였으며 불을 사용하였습니다.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인류는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하였고 움집을 만들고 촌락을 이루었으며 기원전 5000년 전부터 기원전 4000년 사이 번성한 이집트의 파이윰A문화의 경우 당시 사용한 토기와 움집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보리와 밀 그리고 아마와 같은 작물이 재배되었고 양과 나귀가 가축으로 길러지기도 했습니다.
농업은 신석기 시대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로 고든 차일드는 이시기의 경제 문화적 변화를 신석기 혁명이라 이름을 붙였으며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는 약 기원전 9500년 경부터 인도에서는 약 기원전 6000년 경부터 그리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약 기원전 5000년 경부터, 중국에서는 기원전 2500년 경부터 농경이 시작되었습니다. 신석기 시대에 시작된 농업으로 인류는 강을 중심으로 한 촌락을 형성하여 정착 생활문화를 이루었고 이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문명의 모태가 되었으며 당시 인류가 국가의 성립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부족 단위의 생활을 이루고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기원전 2500년 경 아카드 제국과 같은 문명이 출현하였으며 중국에서는 상나라 시대에 이르러 청동기의 제작이 보편화 되었으며 만주 지역에서는 기원전 13세기 무렵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10세기 무렵부터 청동기를 사용하였습니다. 청동기 시대는 인류의 초기 문명이 출현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지금까지 인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 도시, 정치, 법률, 문자, 철학과 같은 것들이 출현하였으며 당시의 주요 문명으로는 고대 이집트 및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 인더스 문명 그리고 중국의 상나라 등이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댓글